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

13460번:구슬 탈출 2 https://www.acmicpc.net/problem/13460 메모리:1140KB시간:0ms코드길이:2620B#include struct cBead { int xy[4], cnt = 0; };bool visit[11][11][11][11];char map[11][11];char mapCopy[11][11];cBead que[121 * 4];int N, M, head, tail;int arrBead[2];int xyNew[4];int r, c;bool isFinish[2] = { 0, 0 };bool process(int r, int c, int bead, int rOffSet, int cOffSet ){ if (map[r][c] == '#' || map[r][c] == 'T') { xyNew[ar.. 2024. 11. 24.
5525번:IOIOI https://www.acmicpc.net/problem/5525 메모리 : 1968KB시간 : 12ms코드길이 : 343B#include int main(){ char str[1000001]; int N, M, val = 0, cnt = 0, ret = 0; scanf("%d %d %s", &N, &M, &str); for (int i = 2; i  메모리 : 1968KB시간 : 12ms코드길이 : 585B#include int main(){ int N; int M; char str[1000001]; int val = 0, cnt = 0, ret = 0; bool isStart = false; scanf("%d %d %s", &N, &M, &str); for (int i = 0; i = 8) { val.. 2024. 11. 24.
ISS (국제 우주 정거장) ISS(국제 우주 정거장)란? ISS는 "International Space Station"의 약어로, "국제 우주 스테이션"입니다. ・우주 공간에서 실험이나 관측을 위한 연구 시설 ISS는 우주 공간에서 과학 실험이나 천체 관측을 실시하기 위한 연구 시설을 의미하며, 1998년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다양한 연구를 위해 이용되어 왔습니다. ISS가 운영되는 우주 공간은 지상과 비교할 때 거의 대기가 존재하지 않으며 대기압은 지상의 100억분의 1로 고준위 진공 상태입니다. 또한 중력은 지상의 100만분의 1에서 1만분의 1로 거의 작용하지 않는 상황에서 미세 중력 환경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특정 실험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이 특수한 환경이 필요한 경우가 있어 ISS가 활용됩니다. 실험은 목적에 따.. 2024. 1. 25.
별의 일생 및 별자리 별의 일생 및 별자리 ・별의 시작 별이 태어나는 과정은 수소와 헬륨 가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과거에는 우주가 빅뱅 현상에 의해 탄생했습니다. 빅뱅이 일어났을 때 대량의 수소와 헬륨 가스, 그 밖에 탄소와 산소 등의 칠레가 생겼습니다. 볼 수 있는 별은 이러한 가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가스가 존재하는 곳을 '분자운'이라고 부릅니다. 먼저 분자운 속의 가스가 중력에 의해 줄어들면서 약 100만 년 정도의 긴 세월이 흘러 원시별이 탄생합니다. 다음으로 원시별 주위에 가스가 모여 모양을 만듭니다. 원시별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 '핵융합 반응'이라고 불리는 별 에너지의 근원이 되는 현상이 시작돼 수소 원자에서 헬륨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 핵융합 반응에 의해 별은 항성으로 성장해 가는 것입니다. ・별의 끝 별.. 2024. 1. 17.
별이 빛나는 이유 별이 빛나는 이유 ・빛나는 별의 종류 맑은 날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반짝반짝 깜빡이는 별을 볼 수 있습니다. 우주에는 많은 별이 있고, 어떤 별도 똑같이 빛나고 있지만, 모든 별이 스스로 빛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별을 대략적으로 나누면 항성·행성·위성의 세 종류가 됩니다. 이 중 스스로 빛나는 것은 항성뿐입니다. ・항성에 대하여 항성이란 스스로 빛나는 별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태양도 항성 중 하나입니다. 항성에는 땅이 없고 수소를 원료로 하여 불타고 있는 거대한 불덩어리 같은 것입니다. 태양 중심부의 온도는 약 1600만℃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이나 동물의 이름이 붙은 별자리를 구성하는 별들도 모두 태양과 같은 항성입니다. 항성에는 다양한 크기와 밝기의 것이 있습니다. 지구에서 바라보면 태양은 다른 .. 2024. 1. 17.
태양의 온도와 용어 태양의 온도와 용어 ・태양의 표면 온도 태양 표면의 온도는 약 6000℃로 알려져 있습니다. '알려져 있습니다'라고 하는 것은 아직 아무도 실제로 태양까지 가서 온도를 측정한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어디까지나 추정치일 뿐이며, 정밀한 온도는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여기서 '태양의 땅은 무엇으로 되어 있을까요?' '땅이 그렇게 고열이 날 수 있는 이유가 뭔가요?'라는 의문을 품은 사람도 적지 않을 것입니다. 사실 태양은 땅이 없이 수소나 헬륨과 같은 여러 종류의 가스가 모여 만들어진 별이며, 그 정체는 빛의 구체(광구)입니다. 이 외에도 탄소나 철과 같은 물질도 일부 포함되지만 양은 극히 적습니다. 탄소는 약 4800℃, 철은 약 2800℃까지 올라가면 기체가 되기 때문에 태양에는 가스가 주를 이룹.. 2024. 1. 17.
태양의 수명과 종말 태양의 나이와 수명 ・태양의 나이 태양이 탄생한 것은 약 46억 년 전입니다. 나이로 따지면 46억 세가 됩니다. 태양은 우주에 떠다니는 가스가 모여들어서 생성되었습니다. 우주 공간에서는 별과 별 사이에 수소 등의 가스와 먼지가 많이 모인 지역이 있습니다. 이렇게 모인 가스나 티끌은 인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움츠러들고, 결국 평평한 원반과 같은 형태가 됩니다. 중심에는 가장 무거운 덩어리가 형성되고 주위에는 얇은 가스와 먼지로 된 원반이 생성됩니다. 이 중심 덩어리가 태양의 근원이 됩니다. 중심 덩어리는 큰 열과 압력을 받아 모인 수소 가스에 불이 붙어 빛을 발하게 됩니다. 이렇게 해서 빛나는 태양이 탄생했습니다. 우주 공간에는 많은 별들이 반짝이고 있습니다.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을 '항성'이라고 부르는데.. 2024. 1. 16.
태양의 움직임 태양의 움직임 ・태양은 왜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이는가? 태양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이는 이유에는 지구의 움직임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지구상에서 관찰할 때, 태양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움직이고 있는 것은 태양이 아닌 지구 자체입니다. 북극 상공에서 지구를 내려다보면 지구는 시계 바늘과 반대 방향으로 자전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자전'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지구의 회전 속도를 느끼지 못하는 것은 지구가 자전하면서도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자전 속도는 24시간에 1회전, 즉 하루에 1회전입니다. 더불어 자전과 별도로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돌며 이를 '공전'이라고 합니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도는 주기는 약 365일이며, 정확하게는 약 1/4일 긴 36.. 2024. 1. 16.
태양 태양 ·태양계에서 가장 무거운 별 태양은 태양계의 중심에 있는 가장 크고 무거운 별입니다. 태양의 무게는 지구의 33만 배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태양계는, 행성이나 준행성, 행성 주위를 도는 위성, 혜성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태양을 중심으로 나란히 서 있는 행성은 태양에 가까운 쪽부터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 8개입니다. 행성은 단지 태양 주위에 떠돌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공전이라는 태양 주위를 도는 움직임을 하고 있습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약 365일 주기로 공전하고 있습니다. 태양 주위를 돌고 있는데도 행성이 밖으로 내던지지 않는 것은 인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인력이란 사물과 사물이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말합니다. 태양과 각각의 행성.. 2024. 1. 16.